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 구치소 생활 엿보기

[구치소 해부①] 입소 첫날 자존심은 뭉개지고 공포심은 배가된다


22개월간 구치소생활을 했었다. 범법행위를 해서가 아니었다. 본의 아닌경비교도대에서의 군생활이었다.

 

충남 논산에 위치한 육군훈련소에서 신병교육을 받고 있던 기자를 법무부가 끌고 갔다. 국방부가대여해 준 것으로 이해하면 정확하다. 차출이라는 그럴듯한 수식어가 달렸지만 군생활 이상의 의미는 없다. 내가 있는 곳, 내가 하는 일이 언제나 가장 고될 뿐이다.

 

수도권역에 있는 A구치소에 배치됐다. 형이 확정되지 않은, 죗값이 매겨지지 않은미결수들과 생활했다. ‘닭장차로 통하던 호송용 대형 버스를 이용해 법원을 오가는 그들을 계호(戒護)하는 것이 주 업무였다. 밤을 감시하는 것도 일상이었다.

 

교정시설은 그 특성상 외부와 철저히 단절된 채 운영된다. 과거와 현재의 풍경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의미다. 그때의 기억이 아직까지 쓸만한 이유이기도 하다

 

◆ 사동(舍棟)이 뿜어내는 한겨울 차디찬 냉기

 

[컨슈머타임스 김재훈 기자] ‘땅콩 회항논란 당사자인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이 서울남부구치소에 수감된 지 7일째를 맞고 있다.

 

조 전 부사장은 발을 들인 첫날 매우 큰 심리적 충격을 받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단순히 변화된 환경 때문만은 아니다.

 

조 전 부사장의 공식적 수감생활은 구치소 측의 입소자 인원파악과 동시에 시작됐을 것으로 본다. 일반수감자와 구분됐다 하더라도 당일 입소인원에 대한 명부 대조 작업은 구치소 입장에서는 필수다.

 

너른 공간에서 통상앉아번호로 진행된다. 당일 수감인원에 따라 2열 종대, 많게는 3열 종대로 실시된다. (교정당국은 조 전 부사장에 대한 특혜 가능성을 일축하고 있다. 앞선 과정을 포함한 이하 전 과정이 생략됐을 확률은 적다는 의미다.)

 

구치소 내 각 사동(舍棟)이 뿜어내는 한겨울 차디찬 냉기와 첫 대면하는 순간이다. 일상생활에서 결코 맡아본 적 없는 익숙하지 않은 불쾌한 향도 코끝을 자극한다. ‘입소동기’(?)들의 다소 암울한 기운은 의욕을 잃게 하는 근원이다.

 

이후 개별 신체검사가 진행된다. 옷으로 가려져 있는 부위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담당 교도관은 문신이나 흉터, 멍 등을 면밀히 살핀다. 수감 기간 동안 머물게 될 사방(舍房)내부, 또는 교도관을 통한 자해·가혹행위가 벌어질 수도 있는 데 따른 증거 보존차원이다.

 

문제는 이 과정이 피검사자의 자존심 근저를 심각하게 건드린다는데 있다. 사실상 전라 상태인 자신의 신체 전-후면이 타인들의 눈에 고스란히 노출되기 때문이다. 규정에 어긋나는 물건이나 도구 등이 은밀한(?) 곳에 숨겨진 채 반입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구치소 측의 불가피한 조치다. 실제 담배나 정체불명의 알약이 발견되기도 한다.

 

사복을 벗고 구치소가 지급하는 수의(囚衣)로 자연스럽게 갈아입는 과정이기도 하다.

 

최초 지급받는공짜수의는 황토빛이다. 여름철에는 건조가 제대로 되지 않아 악취가 풍기는 일도 다반사다. 신발도 고무신으로 바꿔 신어야 한다. 위생과는 거리가 멀다는 게 공통분모다. 첫 외부면회자가 구치소 측 공식 라인을 통해 구입한 연한 하늘색 빛 수의와 고무신을 보내주기 전까지는 버텨야 한다.

 

개인별 파악이 마무리 되면 입소자들은 줄지어 사방으로 향한다. 사방은 1인이 이용하는 독거실(독방)과 혼거실(단체방)로 나뉜다. 입소초기에는 신입수용자들만 따로 모은 신입거실에서 생활한다. 적응기간이다.

 

이 곳에서 짧게는 3~4, 길게는 1주일 정도 생활한 뒤 독방 또는 기존 미결수들이 모여 있는 단체방으로 섞인다.

 

독방과 관련해서는 오해되기 쉬운 대목이 있다. 영화나 드라마 속에서 묘사되는 교도소 독방은 주로징벌과 궤를 함께 한다. 각종 해충들이 득실대는, 누구나 가기 싫어하는 그런 최악의 장소로 분류된다. 구치소의 현실은 전혀 다르다.

 

◆ 구치소독방영화·드라마 묘사와 달라

 

대략 60~70일 정도 소요되는 법원의 최종 결심(結審)까지 혼자 지낼 수 있어 편하다. 안쪽에서 잠글 수 없는열린형태의 간이 화장실과 좌식 목재책상, 담요 몇 장이 전부다.

 

신장 175cm기준 성인 남성이 누우면 겨우 뒤척일 수 있는 정도의 넓이다. 좁지만 다른 미결수들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은 분명한 선호요소다.

 

구치소에서의잠 못 드는첫날밤이 지나면 이튿날 아침식사와 마주하게 된다.

 

국 포함 14찬이 보통이다. 기결수 또는 미결수들이 구치소 내 대형취사장에서 조리한다. 돼지고기와 닭고기 등 육류도 주 메뉴 중 하나다. 요일별로 식단이 계획된다. 조리법은 공식화 돼 있다. 특별히 맛이 없진 않다.

 

물론 개인 입맛에 따라 먹지 못할 정도로 분류되는 요일이나 반찬은 존재한다.

 

숟가락과 젓가락은 플라스틱소재다. 자해나 자살, 타인에 대한 가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재질 특유의 휘어짐에 익숙해지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린다. 밥 한 술 크게 뜨는 것이 불가능할 정도다.

 

입소 초반 식음을 전폐하는 입소자들도 더러 있다. 대부분 하루 반나절 정도만 지나면 스스로 먹을 것을 찾는 게 일반적인 풍경이다.

 

(계속)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